[성균관대학교][IMBA][글로벌 비즈니스 협상론] - 미국인 중역의 행동 고찰 (179p - Case 2)
1.1.1 본문 1.1.2 문제 이 미국인 중역의 행동에 대해서 그 적정성을 한번 논해보시오. 라틴 아메리카는 고 상황 문화이며, 복합 문화체계를 이루고 있다. 라틴 아메리카인에게 있어서 시간은 부족하기 때문에 아껴 써야 할 대상이 아니라 항상 넘쳐나는 대상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시간보다는 인간관계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고 문화 문화로써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는 비언어적인 신호에는 복장, 표정, 제스처, 자세와 태도, 눈 맞춤, 사무실의 크기와 장식물, 옷깃에 꽂는 핀, 학위증서, 가족과 사회적 인맥의 과시 등이 포함된다. 즉, 암시적이거나 간접적으로 내용을 전달한다는 것이다.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상황 판단이 아닌 구체적 정보에 의해 행동하..
2019. 4. 18.
[성균관대학교][IMBA][글로벌 비즈니스 협상론] - 침묵이 만든 혼란 (70p - Case 5)
1.1.1 본문 1.1.2 문제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요? 어떻게 침묵이 상황을 혼란에 빠뜨리는데 사용 된 것일까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차이가 어떻게 그 상황에 영향을 미쳤던 것일까요? 대만은 고 문화 문화를 가지고 있는 나라로써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는 비언어적인 신호를 언어적인 신호보다 더욱 많이 사용한다. 비언어적인 신호에는 복장, 표정, 제스처, 자세와 태도, 눈 맞춤, 사무실의 크기와 장식물, 옷깃에 꽂는 핀, 학위증서, 가족과 사회적 인맥의 과시 등이 포함된다. 즉, 암시적이거나 간접적으로 내용을 전달한다는 것이다. 또한, 자신의 견해를 너무 직선적으로 나타내지 않는다.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상황 판단이 아닌 구체적 정보에 의해 행동하며, 명시적이고 직접적으로 의사를 전달한다. 즉, 저 문화 ..
2019. 4. 18.
[성균관대학교][IMBA][글로벌 비즈니스 협상론] - 멕시코 비즈니스 협상의 문화적 특징 (70p - Case 3)
1.1.1 본문 1.1.2 문제 미국인과 멕시코인 사이의 일을 대하는 자세의 명백한 차이점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멕시코인 들의 문화적 특징을 살펴보면, 가족 집단주의, 넘을 수 없는 권력차이, 높은 불확실성의 회피와 숙명론, 고 문화 커뮤니케이션, 복합 시간관, 높은 남성성, 특수주의, 한정주의, 외부적 지향주의라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멕시코 사회에 전통으로 깊이 뿌리 내린 대부 혹은 대모는 영세에서부터 아이의 성장과 사회화 과정에까지 강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 점이 가족 집단주의 성향으로 형성된 것 같다. 또한, 이들은 가족뿐만 아니라 개인 상호간의 관계에서도 매우 협력적이다. 또한, 높은 남성성으로 인하여, 가족에서 가장의 권위와 가장에 대한 존경, 복종과 자녀의 훈육을 크게 강조한다. 그 ..
2019.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