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Android SIGPIPE
프로세스가 읽기가 안되는 파이프에 쓰려고 한다면, 커널로 부터 SIGPIPE 신호를 받게 된다. 이것은 두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파이프라인에 포함되어 있을 때 필수적이다. 참고로, 모든 시그널이 임의의 쓰레드로 전달되는 것은 아닙니다. SIGFPE (부동 소수점 연산 오류), SIGSEGV (메모리 접근 오류) 등과 같이 명백하게 시그널을 발생시킨 쓰레드가 정해져 있는 경우는 해당 쓰레드에게 시그널이 전달됩니다. 이런 시그널을 synchronous signal 이라고 하는데, SIGPIPE도 이 범주에 들지 않을까 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소켓을 끊었다고 해서 서버에 SIGPIPE가 전달되는 것은 아닙니다. SIGPIPE는 상대방이 닫은 fd로 쓰기를 하려는 순간에 발생합니다. 파이프 닫기 pclose()함..
2015. 3. 23. 15:21